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오늘하루 그만보기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규장각
(선택됨)
한국만화박물관
K-Comics아카데미
국제만화가대회
부천국제만화축제
한중일콘테스트
로그인
아카이브
웹진
이용안내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신착작품
기획기사
만화리뷰
칼럼
인터뷰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이전연재
카드뉴스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로그인
회원가입
아카이브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웹진
신착작품
기획기사
만화리뷰
칼럼
인터뷰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이전연재
카드뉴스
이용안내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
기획기사
검색어
총
725
건
국립중앙도서관, 웹툰과 웹소설 수집 가능해졌다
웹툰과 웹소설 등을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공식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됐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지난 6월 7일(월) 새롭게 등장한 매체인 웹툰, 웹소설을 포함한 온라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제정된 ‘수집대상 온라인 자료의 종류, 형태에 관한 고시’를 11년만에 제정, 지난 6월 1일(수)부터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민
2022-06-21
2022년도 OTT시장의 격전지가 된 웹툰
OTT(Over The Top)의 사전적 의미는 “개방된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OTT의 등장으로 우리는 시간과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게 됐다. 단순히 시청 환경의 제약이 사라지고 바뀐 것을 넘어서, 이제는 국가와 인종, 문화의 경계까지 사라지는 중이다.
하희철
2022-03-03
노블코믹스는 2022년에도 힘을 발할까?
웹소설이 강세인 가운데 웹소설의 웹툰판도 연일 화제를 모으고 있다. 가장 최근 사례로만 봐도 웹소설 팬층에서 꾸준한 화제를 모아 온 <내가 키운 S급들>(애칭 <내스급>)은 웹툰판의 공개 첫 날인 2021년 11월 15일 매출 1억을 찍는 기염을 토했다. 이렇게 웹소설을 원작 삼아 제작한 웹툰을 가리켜 통칭 ‘노블코믹스’라 부른다.
서찬휘
2022-02-03
AI기술과 웹툰의 현재
웹툰의 확장성을 어디까지 상상하고 있는가? 그것이 무엇이든 모든 것들이 AI로 구현이 가능하다. AI를 연구하는 종사자들이여, 이 시대의 최강 콘텐츠, 웹툰을 주목하라!
김한재
2022-01-03
도서정가제와 구글방지법, 그리고 웹툰
2021년 정책적으로 가장 큰 이슈는 도서정가제와 구글갑질방지법이었다. 이 두 가지 이슈가 어떻게 진행됐고,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들여다보고, 향후 필요한 정책적 뒷받침을 살펴보도록 하자.
남경화
2021-12-23
게임, OTT 기업의 웹툰 시장 참전
웹툰이 원천 IP로 각광받으면서 직접 웹툰을 하려는 게임, OTT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웹툰 제작에 관심 갖고 움직이는 기업들의 사례들을 알아보자.
이동우
2021-12-20
웹툰의 글로벌화, 현재진행형
2014년 네이버웹툰이 ‘글로벌 진출 원년’을 외친지 8년만에, 본격적인 웹툰의 글로벌 경쟁이 시작된다. 한 해 동안 있었던 웹툰 플랫폼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 시도를 짚어본다.
조경건
2021-12-17
[글로벌리포트] 2021년 일본 만화업계, 키워드는 “웹툰”
2021년을 돌아보며 2021년 일본 내 히트작과 일본 만화계의 핫 키워드를 알아본다.
이현석
2021-12-15
인공지능(A.I) 시대, 웹툰 창작자들이 맞서게 될 다섯 가지
인공지능의 등장은 웹툰 창작과 제작의 영역에서도 큰 혁신과 변화를 이끌 것이고 그 속에서 기회를 얻는 영역과 도태되는 영역이 등장할 수밖에 없다. 인공 지능 시대를 앞두고 웹툰 작가들은 무엇을 고민해봐야 할까?
김민태
2021-12-13
웹툰 플랫폼의 현재와 미래
한국 웹툰계는 급속도로 성장해 왔다. 웹툰 플랫폼을 포함한 기업들은 승승장구하고 있기만 한 걸까?
손주형
202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