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세계적인 만화시장인 일본에 국내 만화 콘텐츠를 수출한다.SK텔레콤은 일본 3대 이동통신사인 NTT 도코모와 소프트뱅크, KDDI 등을 통해 국내 만화 콘텐츠를 모바일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5월 초에 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수출되는 만화는 약 70여 개. 한일합작 영화로도 큰 화제를 모았던 ‘텔레시네마7’과 이현세 작가의 신작 ‘비정시공’을 비롯해 일본의 만화잡지인 ‘발키리’에 연재중인 ‘유령왕’과 ‘강철강’, ‘고스트페이스’, ‘이끼’ 등 SK텔레콤의 만화포털인 ‘툰도시’에 연재중인 작품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특히 이 가운데 50여 개 작품은 SK텔레콤이 작가들을 발굴해 초창기부터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번 일본 만화시장 진출은 국내 이통사 가운데 최초이며, 특히 세계적인 일본 디지털 만화시장에 ‘한국만화 몰’이 입점 형태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SK측은 이번 진출로 인해 “향후 한국만화가 해외 디지털 콘텐트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현재 일본의 디지털 만화시장은 약 500억 엔(원화 6000억 이상) 규모로, 대부분의 서비스 제공 방식이 모바일 내 전자서점 형태다.SK텔레콤은 이번 일본 진출에서 일본 주요 전자서점인 대일본인쇄(DNP)의 ‘망가곳치’와 모바일북제이피(MBJ)의 ‘도코데모독쇼’를 포함한 다양한 전자서점 채널을 이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조만간 약 100여 개의 전자서점으로 채널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울러 일본의 전자서적 전문 중개회사인 모바일북제이피(MBJ)의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국내만화의 일본 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SK텔레콤 이진우 데이터사업본부장은 “지금까지 일본만화의 한국 진출이 대세였던 것을 감안할 때 이번 한국만화의 일본 진출은 남다른 의미가 있다”며, “이번 일본 진출을 시작으로 향후 아시아, 유럽, 미국 등으로 점차 시장을 확대, 한국 문화 콘텐트의 우수성을 적극 알려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