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오늘하루 그만보기
아카이브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구술채록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통계
수상작 아카이브
웹진
웹진아카이브
기획기사
칼럼
만화리뷰
기획칼럼
인터뷰
추천만화
지금만화(디지털)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카드뉴스
소장품
주요소장품
소장자료 연구
소장품 열람·복제
소장품 디지털 파일 제공
소장품 대여 안내
이용안내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Open API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아카이브
만화아카이브
작가인물정보
역사관
구술채록
연구자료
전시도록
복간도서
지식총서
통계
수상작 아카이브
웹진
웹진아카이브
기획기사
칼럼
만화리뷰
기획칼럼
인터뷰
추천만화
지금만화(디지털)
만화계소식
행사소식
카드뉴스
소장품
주요소장품
소장자료 연구
소장품 열람·복제
소장품 디지털 파일 제공
소장품 대여 안내
이용안내
만화규장각 소개
만화도서관 안내
Open API 안내
오시는 길
자료기증
FAQ
로그인
전체메뉴열기
만화리뷰
[신간만화소개] 비밀을 간직한 소년들은 왜 그곳에 머무나, ‘집이 없어’
여기 두 소년이 있다. 한 소년은 귀신을 보는 어머니와 살기 싫어 일부러 기숙사가 있는 고등학교에 지원했다. 그의 어머니는 집을 떠나려는 아들을 말리려다 차에 치여 숨졌다. 그리고 다른 한 소년은 텐트 한 장을 쳐둔 채 매일 떠들썩하게 친구들을 불러 살고 있다. 그는 일견 사람을 좋아하는 듯 보이지만 진심은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2019-05-16
이국화
0
URL 복사
여기 두 소년이 있다.
한 소년은 귀신을 보는 어머니와 살기 싫어 일부러 기숙사가 있는 고등학교에 지원했다. 그의 어머니는 집을 떠나려는 아들을 말리려다 차에 치여 숨졌다. 그리고 다른 한 소년은 텐트 한 장을 쳐둔 채 매일 떠들썩하게 친구들을 불러 살고 있다. 그는 일견 사람을 좋아하는 듯 보이지만 진심은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두 소년은 악연 같은 만남으로 인해 아무도 살지 않는 버려진 옛 기숙사에서 단둘이 함께 사는 처지가 된다. 귀신이 나온다는 소문이 자자한 낡은 기숙사는 수상한 부적으로 뒤덮여 있고 매일 밤 방 밖에서 누군가 뛰어다니는 소리가 들려 온다.
평범한 사람이라면 결코 1초라도 머물고 싶어 하지 않을 곳이지만 두 소년은 두려움에 떨면서도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그뿐인가? 얼굴만 마주하면 서로를 잡아먹지 못해 안달인데도 기숙사가 폐쇄될지도 모르는 위기 앞에서는 얼마든지 친한 척도 할 수 있다.
‘어서오세요, 305호에!’와 ‘하나(HANA)’로 이미 드라마틱한 스토리텔링 능력을 검증받은 바 있는 와난 작가의 신작, ‘집이 없어’는 이렇듯 비밀스러운 두 소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소재에 귀신이 계속 등장하기 때문에 많은 독자들은 이 만화를 처음에 호러물일 것이라 예상했었다. 하지만 와난 작가는 언제나 독자의 예상을 빗나갔던 이답게 이 만화가 호러물이 아님을 미리 밝혀주었다. 심지어 이 만화는 고등학생인 두 소년을 다루고 있지만 학원물도 아니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만화는 대체 어떤 만화일까? 읽는 누구나 궁금해할 그 정체는 아직 연재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완전히는 알 수 없다. 독자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그저 두 소년이 살며시 보여 주고 있는 상처에 공감하고 그들이 대체 어떤 변화를 겪으며 성장해 나가게 될지를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기대하는 것뿐이다.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두 소년은 사실 서로 아주 비슷한 사람들일지도 모른다. 두 소년은 이전의 집이 아닌 새로운 집이 필요한 사람이고, 그것을 위해서는 무엇이든 감수할 수 있다. 그러나 집을 대하는 두 사람의 태도는 완전히 상반되어 있으며 바로 그 ‘집’이야말로 이 만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키워드라 할 수 있다.
집이란 무엇일까. 집은 누구나 가장 편하게 머무를 수 있어야 하는 곳이라고 주인공 고해준의 어머니는 말한 바 있다. 그러기 위해 언제나 깨끗이 청소하기를 멈추지 말아야 하는 장소. 그 말은 주문처럼 남아 아들인 고해준에게도, 그리고 이제 그의 유일한 하우스메이트가 된 백은영의 마음속에도 닿았다.
이 두 소년에게 과연 귀신의 집 같은 낡은 기숙사는 진짜 집이 될 수 있을까?
그 날이 오면 두 사람은 진정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될까?
‘집이 없어’는 한 치 앞도 예상할 수 없는 놀라운 전개와 흡입력으로 독자들에게 그러한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이전글
[우수만화리뷰] ‘오라존미’ : ‘여중생A’의 뒤를 이은 독특한 성장담
2019-05-14
다음글
[우수만화리뷰] 웃음과 귀여움의 힘, ‘푸들과 Dog거중’
2019-05-17